퇴직자 또는 실업자 대상 상병수당 신청 방법

🤒 퇴직 후 아프신가요?
실업 상태인데 병원비나 생계비가 부담되시나요?
실제 조건만 충족된다면, 상병수당 제도를 통해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!

 

 

 

✅ 상병수당 이란?


근로자가 업무와 상관없는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근로가 어려울 경우,
국가에서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**의료 및 생계 보조를 위한 수당**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

현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범사업 형태로 8개 지역에서 운영 중이며,
해당지역에 거주하거나 근무처가 해당지역에 있어야 합니다..


시범지역
  • 📍 용인시,안양시,원주시,익산시
  • 📍 전주시,충주시,달서구,홍성군

📋 신청 대상 및 필요 조건


상병수당은 사업장에 속해있는 근로자 대상 지급이 원칙입니다.
퇴직자 혹은 실업자는 온라인 상담 또는 1577-1000번으로 먼저 문의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.

맨 아래 "관련 Q & A " 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올라온 내용이니 참고하세요.

 

 

 

  • 만 15세 이상 ~ 65세 미만
  • 대한민국 국적자
  • 지역에 거주하거나 지역에 있는 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
  • 상병수당 참여 의료기관에서 진단서를 발급받은 사람


📝 제출 서류


  • 📄 의사 진단서 또는 소견서
  • 📌 신분증
  • 📎 통장 사본
  • 📥 실업급여 수급 중인 경우: ‘질병수급연기 신청서’


🏢 신청 방법


  • 1️⃣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관할 지사 방문
  • 2️⃣ 고용노동부 고용센터에서 실업급여 연기 신청


💵 수당 금액 및 지급 방식


구분 내용
상병수당 (시범사업) 하루 43,960원 지급
최대 90일 (약 400만원 상당)
실업급여 연기 질병 기간만큼 실업급여 지급기간 자동 연장
기타 지원 긴급복지지원 제도, 지자체 보건소 연계 등


💬 관련 Q&A


Q1. 상병수당 신청 시 취업 증빙서류를 제출해야하나요?

✅ 증빙서류는 건강보험 및 고용·산재보험 가입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.
① 건강보험 직장가입자: 별도서류 미제출(공단에서 전산시스템으로 확인)
- 실업한 경우 ‘퇴직증명서류’(전산 확인 가능할 경우 제출 불필요)


Q2. 상병수당을 지급 받는 중에 해고(실직)가 되어도 상병수당을 계속 지급받을 수 있나요?

📍 업무 외 질병·부상으로 일을 하지 못해 상병수당을 받던 중 실직을 하더라도 급여는 계속 지급됩니다.
- 시범사업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, 퇴직하더라도 근로활동불가기간이 시작되었을 때 취업자 자격을 충족하면 지원 가능합니다.


다음 이전